반응형
2장. 리액트 네이티브 시작하기
- 맥, 윈도우,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 가능
2.1 개발 환경 준비하기
- 공통 : Node.js, JDK, 안드로이드 스튜디오
- Mac : 왓치맨, Xcode
- Window : Python
- 그밖에 OS와 설치 경로에 맞게 환경 변수 설정
2.2 리액트 네이티브 프로젝트 만들기
- Expo : 리액트 네이티브의 사용을 편리하게 해주는 툴
- https://expo.io
-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폰이 있으면 Xcode,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없이도 해당 플랫폼 테스트 가능
- expo에서 제공하는 API만 사용 가능
- expo-cli 설치 : npm install --global expo-cli
- 프로젝트 생성 : expo init my-first-expo / choose a remplate에서는 blank를 선택
- 프로젝트 실행 : cd my-first-expo (해당 경로로 가서) / npm start (실행)
- 리액트 네이티브 CLI
- 필요한 기능이 있을 때 모듈을 직접 만들어 사용
- Expo에 비해 배포가 불편, 처음 학습할 때 Expo 보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음
- 프로젝트 생성 : npx react-native init MyFirstCLI
- 생성 시 프로젝트 이름으로 영문과 숫자만 사용 가능
- 원하는 react 버전을 사용해서 프로젝트 생성 가능 : npx react-native init 프로젝트이름 --version x.xx.x - 프로젝트 실행 : cd MyFirstCLI (해당 경로로 가서) / npm run ios 또는 npm run android
- npx react-native run-ios 또는 npx react-native run-android 명령어로도 실행 가능 - Metro : 리액트 네이티브를 위한 자바스크립트 번들러(실행 시 터미널 또는 명령 프롬프트가 열림
반응형
'Dev > ReactNat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처음 배우는 리액트 네이티브] 3장. 컴포넌트(Component) - JSX, props, state, event (0) | 2022.02.06 |
---|---|
[처음 배우는 리액트 네이티브] 1장. 리액트 네이티브란? 장단점, 동작방식 (0) | 2022.01.02 |
댓글